안녕하세요.
오늘은 vscode로 spring boot를 이용하여 maven, gradle 프로젝트를 각각 생성하는 방법을 적어보려 합니다.
vscode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어디서 생성해야 되는 건지 난감하실 수 있는데요.
지금부터 생성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.
순서
1. 마켓 플레이스에서 Spring Boot Extension Pack을 설치한다.
이 패키지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트를 위한 환경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.
2. CTRL + SHIFT + P를 누른다
해당 명령어는 vscode 내 명령 프롬프트를 여는 명령어입니다.
여기서 프로젝트 생성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프로젝트 생성이 시작합니다.
3. 입력창에 Generate를 칩니다.
그러면 자동완성 기능으로 인해 Spring Initializr: Generate ~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.
여기서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으시면 Generate a Maven Project를, gradl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으시면 Generate a Gradle Project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 (저는 Gradle 프로젝트를 선택해보았습니다.)
4.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합니다.
(저는 Java를 선택하였습니다.)
5. Group Id와 Artifact Id를 입력합니다.
기본적으로 com.example로 되어있지만 이 부분은 나중에 패키지의 기본 경로가 되기 때문에 연관 있는 것으로 설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마찬가지로, 관련있는 것으로 변경해줍니다.
6. 스프링 부트 버전 및 의존성을 설정해줍니다.
스프링 부트 버전같은 경우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.
의존성 설정도 바로 해 줄 수 있습니다.
하나를 선택하면 체크가 되면서 스크롤이 자동으로 맨 위로 올라가므로 내리면서 여러 개를 선택해줄 수 있습니다.
또한, 의도치 않은 의존성을 선택했다면 해당 의존성을 클릭하거나 해당 의존성 위치에서 엔터를 누르면 취소할 수 있습니다.
추가할 의존성을 모두 선택하셨다면 Selected ~ dependencies를 선택하시면 폴더를 생성할 위치를 묻게 되고 Spring boot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틀이 구성되면서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.
'개발 etc. > Visual Studio C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scode에서 maven 프로젝트를 jar 파일 빌드하기 (0) | 2020.05.09 |
---|---|
command not found: ...\launcher.bat 에러 해결법 (0) | 2020.04.06 |